NFT 관련 용어들을 정리하여 입문자들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니이야기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해요.
느프트 관련 입문 공부를
저와 여러분과 같이 하시면 좋겠습니다.
NFT 용어알기(3), 에어드랍, 화리,가스피,PFP, P2E, LFG
팁 관련해서 포스팅 시작할께요.
![](https://blog.kakaocdn.net/dn/dEk1DK/btrwA7hB3w6/1s4Fcvp6A6UvcwBTM5spA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el1Yk/btrwAZ3WZRd/2TtWIWZLOlRR7ovMZ1lvwk/img.png)
1.에어드랍
에어드랍 : Air + Drop의 합성어로 NFT 또는 코인을 무료로 나눠주는 것을 말한다.
간혹, 에드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에어드랍을 받기 위한 조건으로는 특정 코인이나
NFT 등을 가지고 있거나
이벤트 당첨자 또는 커뮤니티에서 미션을 수행한 사람에게 지급합니다.
2. 오지
OG는 Original + Gangster의 합성어로 극초기 시장진입자를 의미한다.
초창기에 해당 생태계에 들어와서 자리를 잡은 사람을 뜻합니다.
이들은 일찍 들어와서 시장을 선점했기 때문에
높은 수익을 실현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화리
WL은 White + List의 합성어로 우선 구매권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 NFT를 우선으로 살수 있거나
또는 원래보다 싸게 살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사람들의 목록을 말합니다.
해당 커뮤니티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미션을 수행하면
화리에 올라갈 기회가 주어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MpkaS/btrwLgRh32Q/UkNCff4FZt4H67b3scGmQ0/img.png)
1. 포모
FOMO는 Fear + Of + Missing +Out의 합성어이다.
두려움에 머뭇거리다가 어떤 기회를 놓치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연속되는 상승장에서 나만 큰돈을 벌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으로 너도 나도 묻지마 투자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는 민팅에 실패하거나 거래 실패한 NFT가 떡상할 때 느끼는 고립공포감을 말합니다.
2.민팅
민팅 : Minting는 원래 화폐를 주조하다라는 뜻의 민트에서 유래되었다.
동전을 주조하듯이 디지털 파일을 가상자산으로 NFT화 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민팅을 하였다고 판매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판매등록인 리스팅까지 하여야 합니다.
3.리스팅
리스팅 : Listing은 플랫폼인 NFT 오픈플레이스에서 판매하기 전에 등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이 리스트에 올린다고 하여 리스팅이라고 합니다. 우리말로 그냥 판매등록이라고 하여도 될 듯.
![](https://blog.kakaocdn.net/dn/bK1OJF/btrwpiJ9rKr/pk13p7Jnq07Xscye0GobEK/img.png)
1.가스비 or 가스피
가스비 or 가스피 : Gas fee는 블록체인 기반 거래시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그 수수료를 가스피라고 한다.
가스피는 이더리움을 송금할 때에 발생하는데요.
가스값을 설정할 수 있어요. 높아질수록 송금 속도가 빨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대의 경우는 느려지겠지요.
가스는 이더리움 플랫폼을 작동시키는 연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최소한의 사용료를 지불하고 모인 그 사용료는
플랫폼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채굴자들의 보상으로 주어집니다.
NFT에서 가스피는 오픈씨를 예로 들자면
민팅하기까지는 이더 가스피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리스팅할 때 가스비가 들어갑니다.
가스피는 코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데요.
이더리움은 한화로 약 20~30만원 정도로 가장 높습니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오픈씨는 최초 1회만 가스피를 지불하면 된다는 사실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일반인이 이더리움 가스피를 지불하고
시장에 진입하기에는 부담스럽습니다.
반면 클레이튼은 약 200~300원 정도로 저렴하지만
NFT 시장이 작아서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반대로 폴리곤은 가스비가 무료이고 이더리움으로 바꿀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2. NFT플랫폼
NFT플랫폼 : 가상자산인 NFT를 만들어서 역시 가상자산인 코인으로 사고 파는 마켓플레이스.
가장 거래 규모가 큰 오픈씨와 한국의 클레이튼, 위메이드, 업비트 등이 있습니다.
3. 아마
아마 : AMA는 Ask Me Anything의 머릿글이다.
이른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흔히 재단 같은 상위 소속집단과 구성원과의 질문과 답변 소통 방식을 의미합니다.
1.FUD
Fear Uncertainty and Doubt는 악재양산
계속되는 하락장에서 가격이 더욱 더 폭락할까봐 자산을 내던지게 되는 심리를 말합니다. 공포, 불확실성, 의심을 총칭하며, 가짜뉴스 생산이나 악재를 의도적으로 퍼뜨리는 행위입니다.
2.DAO
DAO(다오,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 탈중앙화 자율조직.
블록체인의 핵심이자 NFT 시장의 본질. 커뮤니티에서는 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제안과 투표 등의 의사결정을 의미. NFT 보유수량 비율로 투표권이 보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오에 대한 글은 용어정리 1편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서니이야기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이야기 NFT 용어알기(3), 에어드랍, 화리,가스피,PFP, P2E, LFG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NFT 용어정리 (1편) 느프트, 화리,디스코드,챗굴,스테이블 코인,트레블룰,DAO,RUG PULL
NFT의 개념과 마켙플레이스 NBA탑샷, 용어정리(2)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 들여다보기
'메타느프트의 디지털 > NFT와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트래블룰 관련 정리 (0) | 2022.03.24 |
---|---|
우크라이나 전쟁 기부금, 비트코인으로 받아 "암호화폐 전쟁" (1) | 2022.03.23 |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 들여다보기 (0) | 2022.03.21 |
NFT의 개념과 마켙플레이스 NBA탑샷, 용어정리(2) (0) | 2022.03.21 |
NFT 용어정리 (1편) 느프트, 화리,디스코드,챗굴,스테이블 코인,트레블룰,DAO,RUG PULL (0) | 2022.03.20 |